-
[AWS] S3 파일 저장소 사용하기정리/AWS 2022. 6. 15. 16:13
AWS 로그인 하기
S3 메뉴 찾기
S3 버킷 만들기
버킷은 S3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라고 생각하면 된다 😎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폴더 안에 파일을 저장하는 것처럼 S3에서도 버킷 안에 파일을 저장한다.
버킷 만들기에 보이는 옵션들은 전부 사용하지는 않기에, 서비스의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찾아보면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버킷이 생성되도 설정을 바꿀수 있기 때문에, 연습할때는
버킷이름 설정, AWS 리전은 아시아 태평양(서울) ap-northeast-2 로 설정하고 나머지 옵션들은 그냥 기본으로 놔둬도 된다.
버킷만들기 - 일반구성
버킷이름: 이름은 무수히 많은 버킷중에 고유한 이름이어야 한다 💾
AWS 리전: 우리는 서울 리전이 제일 가까우므로 서울 리전을 선택
기존 버킷 복사: 기존 버킷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때 유용하다
버킷 만들기 - 엑세스 차단 설정
액세스 차단 설정은 버킷에 저장한 파일의 권한을 설정하는 기능이다 🛠
퍼블릭 엑세스: 버킷이 생성되면 고유한 URL이 부여된다. URL을 통해서 저장된 파일에 접근 할수 있게 하는 기능
ACL: 액세스 제어 목록으로 버킷과 객체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한다
버킷 만들기 - 버킷 버전 관리
버전관리는 개발할때 소스를 git, svn으로 관리하는 것처럼 버킷내의 파일들을 버전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
버킷 만들기 - 태그
태그는 해당 버킷을 태깅해놓고 이후에 비용측정이라던지 많은 버킷중에 태그로 검색을 한다던지 할때 쓰는 태깅 기능
버킷 만들기 - 기본 암호화
암호화는 말그대로 파일들을 암호화해서 좀더 보안적으로 신경써서 관리하게 해주는 기능이다
버킷 만들기 - 고급 설정
객체 잠금은 고급 설정. 보안에 좀 더 신경써야하는, 중요한 파일이 버킷에 저장되었을 때 사용한다.
버킷 생성 확인
버킷이 잘 생성되었다면 바로 파일을 저장해보자
파일 업로드
파일 업로드 - 버킷 선택
파일 업로드 - 업로드 화면 이동 & 파일 추가 & 그 외 옵션
업로드할 파일을 추가한다. 대상 탭을 보면 업로드할 파일이 어떤 옵션을 가지는지 보인다.
추가 업로드 옵션을 사용하여 버킷을 만들 때 설정했던 옵션들을 업로드할 때 다시 설정할 수 있다.
파일 확인
파일 확인 - 리스트 확인, 정보 확인, 객체 URL 확인
S3에 업로드 되는 모든 파일에는 객체 URL이 부여된다 🧐
해당 URL을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호출하면 업로드된 파일이 보인다.
하지만 지금은 파일에 권한을 퍼블릭 하게 주지 않았기 때문에 AccessDenied 라는 에러가 나타난다.
객체 URL 확인 - 권한 탭에서 변경
파일의 권한 탭으로 이동해서 퍼블릭 접근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하지만 피부여자 그룹에서 객체 소유자의 권한만 변경할수 있고 모든 사람의 권한은 변경할수 없다.
브라우저에서 접근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의 권한을 변경해 줘야 한다.
객체 URL 확인 - 버킷 권한 확인
모든 퍼블릭 엑세스 차단 체크박스의 체크를 풀고, 변경 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
파일의 권한을 퍼블릭하게 주기 위해서는 버킷의 권한을 퍼블릭하게 수정해줘야 한다.
(버킷을 생성할때 설정할 수도 있고 생성후에 수정할 수도 있음)
객체 URL 확인 - 파일 퍼블릭 권한 부여
이제 브라우저에서 확인 가능하다!
AWS S3 참고문서
https://docs.aws.amazon.com/s3/?id=docs_gateway
https://docs.aws.amazon.com/s3/?id=docs_gateway
docs.aws.amazon.com
'정리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3 비용계산 (0) 2022.06.16 [AWS] S3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0) 2022.06.16 [AWS] SDK를 이용한 S3 파일 업로드 (0) 2022.06.16 [AWS] IAM 계정 생성 및 사용자 추가 (0) 2022.06.16